고혈압 진단기준 및 관련 질병, 영양관리방법

○ 과제 이름:고혈압 진단 기준을 제시하고 고혈압에 의해서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병에 대해서 조사하고 설명하시오. 또 국민 건강 영양 조사 제8기 1차 연도(2019)조사 결과를 참고하고 만 30세 이상 연령별 고혈압 유병률을 성별로 나누어 제시하고 고혈압의 영양 관리 방법을 조사하고 설명하시오. I. 고혈압 진단 기준 고혈압은 혈관이 지속적으로 높은 압력을 받은 상태에서 WHO의 분류에 의하면 수축기 혈압 120mmHg이하, 이완기 혈압 80mmHg이하를 표준 성인 혈압으로 정의하고 수축기 혈압이 140mmHg또는 이완기 혈압이 90mmHg을 초과할 경우 고혈압으로 분류한다. 즉 고혈압은 혈액이 동맥 벽에 압력을 크게 미치는 상황에서 18세 이상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이상의 경우와 정의된다.그런데 고혈압 측정의 표준은 아직 진료실에서 측정한 혈압이다. 진료실 측정 혈압의 정상 수치 상한은 조금씩 낮아지면서 JNC-7(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pressure)에서는 120/80mmHg이하를 정상으로 정의했다. JNC-7고혈압 분류는<표-1>과 같다.<표-1>고혈압 분류

○과제명: 고혈압 진단기준을 제시하고 고혈압으로 인해 발생위험이 높아지는 질병에 대해 조사하고 설명하라. 또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 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만 30세 이상에서의 연령별 고혈압 유병률을 성별로 나누어 제시하고 고혈압의 영양관리 방법을 조사하여 설명하시오. I. 고혈압 진단기준 고혈압은 혈관이 지속적으로 높은 압력을 받은 상태에서 WHO 분류에 따르면 수축기 혈압 120mmHg 이하, 이완기 혈압 80mmHg 이하를 표준 성인 혈압으로 정의하며 수축기 혈압이 140mmHg 또는 이완기 혈압이 90mmHg을 초과할 경우 고혈압으로 분류한다. 즉 고혈압은 혈액이 동맥벽에 압력을 크게 주는 상황에서 18세 이상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로 정의된다.그런데 고혈압 측정의 표준은 아직 진료실에서 측정한 혈압이다. 진료실 측정 혈압의 정상 수치 상한은 조금씩 낮아져 JNC-7(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pressure)에서는 120/80mmHg 이하를 정상으로 정의했다. JNC-7 고혈압 분류는 <표-1>과 같다. <표-1> 고혈압 분류

여기서 주의하는 것은 혈압은 항상 변화하고 있으므로 혈압 측정될 때의 신체적 상태 및 측정되는 주변 환경에 의해서 그 측정치가 바뀐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고혈압에 대한 진단은 한번의 측정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며칠에서 길게는 몇달 동안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Ⅱ. 고혈압에 의해서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질병 고혈압은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것이 보통이다. 대부분이 집단 검진과 다른 병에서 진찰을 받는 사이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고혈압을 침묵의 살인자(silent killer)이라고 한다. 혈압이 매우 높은 사람이나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인한 증상이 있다. 이런 고혈압은 혈관의 변화를 유발하고 뇌, 심장, 신장 등의 주요 장기에 병을 유발할 수 있다. 즉 고혈압은 마음·뇌 혈관 질환, 신장 질환의 주요 원인이다. 이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우선 고혈압은 신장 손상을 촉진한다, 간 질환을 악화시킨다. 정상 범위의 수축기 혈압(90~150mmHg)에서는 사구체에 혈액이 유입된 유입 세동 맥의 수축력 조정에 꼰 실 구체 모세관 압이 적정 수준 내에 잘 유지된다. 그러나 수축기 혈압이 150mmHg를 넘으면 사구체 모세관 압이 증가하고 사구체 고혈압이 발생한다. 그런데 혈관 질환이 있거나 당뇨병처럼 신장의 자동 조절 기능에 이상이 생길 경우, 수축기 혈압이 150mmHg을 넘지 않아도 사구체 고혈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철저한 혈압 조절이 더욱 강조된다.둘째, 고혈압은 동맥 경화의 위험 인자이다. 관상 동맥 경화증으로 협심증, 심근 경색증, 심부전 부정맥 급사 등을 일으킨다, 간 동맥 경화에 의해서 신부전-요독증을 일으키는 뇌 동맥 경화에 의해서 뇌 중풍증, 출혈성 뇌 경색, 혈전 뇌 경색 등을 일으킨다. 말초 동맥 경화로 조금 걸으면 발이 아파서 쉬게 되고 풀면 다시 걸어서 아프면 다시 쉬어야 할 간헐성 파행증도 생긴다. 이처럼 고혈압은 동맥 경화성 합병증의 주요 위험 인자로 작용한다.셋째, 고혈압 자체로 인한 합병증으로 박리성 대동맥류가 있다. 대동맥류의 내막에 손상이 생기면 동맥 압력에 의해서 동맥 벽내에 혈종이 생기고 커지고 말초부에 찢기는 것을 말하며, 심한 흉통 등 증상이 있다.넷째, 고혈압의 만성화는 급격하게 신기능이 악화되면서 확장 기압 140mmHg이상 상승하고 신속히 감압하지 않으면 심부전, 신부전, 뇌졸중 등을 합병하고 사망하는 악성 고혈압에 진행할 가능성이 있다. 다섯째, 고혈압은 고혈압성 뇌증을 유발할 수 있다. 급격히 혈압이 상승하고 심한 두통, 구토, 시력 장애와 함께 경련, 혼란 등의 의식 장애를 보이며 악성 고혈압이나 뇌 중풍과 비슷한 증세를 보이지만, 한번 감압하면 후유증 없이 회복하는 것이 고혈압성 뇌병증이다. 급격한 혈압 상승에 대한 뇌의 혈압 조절 기능에 파탄이 오는 것이다. 자기 조절 기능에 의해서 혈압이 낮아지면 혈관이 확장되어 혈압이 높아지면 혈관이 수축하고 일정한 뇌 혈류를 유지하지만 한계를 넘어서면 혈액 흐름관이 생기뇌 부종과 이른바 고혈압성 뇌병증이 생긴다. 뇌병증이 발생하면 신속하고 확실한 강압이 필수다. Ⅲ. 보름 30세 이상의 연령별 고혈압 성별 유병률 1. 남녀의 고혈압 유병률(단위:%)

”’09”’ 11 ”’12”’ 14 ”’15”’ 16 ”’17”’ 18 19 남자 고혈압 유병률 30.730.133.9334.231.835.137.73 5.036.434.7 여자 고혈압 유병률 25.427.227.829.82 6.229.42 7.630.431.2

2. 해석 2009년부터 2019년까지 남성과 여성의 고혈압 유병의 추이를 비교하면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15년 이후 30%대 후반을 유지하고 있어 최근에는 커지는 추세로 보고 있으며 여성도 15년을 넘어 30%대를 넘어선다. Ⅳ. 고혈압의 영양 관리 방법 대표적인 만성 질환인 고혈압은 진단이 쉽고 치료 및 관리가 쉽지만 평소에는 특히 증상이 없어 진단 못하는 경우가 많다, 진단되더라도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고혈압 환자의 절반이 치료를 받고 치료 환자의 절반이 조절된다는 반의 법칙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관리가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고 혈압 조절을 위한 관리 방법으로는 약물 요법과 비 약물 치료가 있는 생활 요법이 있는 약물 요법은 환자 순응도와 혈압 변동을 유의하면서 치료를 해야 한다. 비 약물 치료인 생활 습관 교정은 건강적인 식사 습관, 운동, 금연, 절주 등이 있다.혈압 관리를 위해서는 고혈압의 위험 인자인 비만, 지방 장애증을 관리하기 위한 적절한 칼로리 섭취, 적절한 양의 지방질 섭취, 포화 지방산과 트랜스 지방 섭취 감소와 함께 수분 평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나트륨 과다 섭취를 제한하는 방법이 강조된다. 나트륨의 과잉 섭취는 세포외액량을 증가시키고 세동 맥 벽의 흥분성과 저항을 높이고 혈압이 상승한다. 그러므로 고혈압의 영양 관리의 일환으로서 반드시 저염식의 식사를 해야 한다. 대한 고혈압 학회가 발행한 “고혈압 진료 지침 2018″에 따르면 하루 소금을 10g정도 섭취하는 고혈압 환자가 소금 섭취를 반으로 줄이면 수축기 혈압이 5mmHg정도 줄어든다는 것이다. 소금의 권장 섭취 량은 1티 스푼 정도의 하루 6그램 이하이다. 또 소금 섭취와 칼로리 섭취 사이의 상관 관계가 높기 때문에 열량 섭취를 줄이면 소금 섭취 량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나트륨은 고혈압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 경범·중증 고혈압 환자의 나트륨 일일 섭취 량을 4~6g으로 제한할 때 혈압 조절에 도움이 된다.또 혈압을 낮추는 효과 있는 “칼슘”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고혈압 환자에게 매일 칼슘 2000mg을 섭취하면 평균 혈압이 88~179mmHg에서 73~150mmHg에 최대 17%가까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로 정상 혈압을 가진 성인에 하루 1000mg의 칼슘을 복용시킨 결과 남성은 칼슘 섭취 6주 이내에 여성은 9주 이내에 6~9%정도의 혈압 강하 효과를 보였다는 연구 등이 칼슘 섭취 증가에 따른 혈압 안정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고혈압 관리와 영양 요인과의 상관 관계를 정리하면 포화 지방, 나트륨, 알코올, 칼로리 등의 섭취 량은 고혈압과 양(+)의 상관 관계를 갖고, 칼슘, 단백질, 섬유소, 마그네슘, 비타민 C와 D등의 섭취 량은 고혈압과 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나트륨 포화 지방 섭취를 줄이고, 칼슘, 섬유소 등의 섭취는 늘려야 한다. ※참고 문헌 김·슥용, 서울·영옥,”고혈압 환자의 간호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 간호학 회지, 9(3), 1991, pp.438-452. 대한 고혈압 학회, 『 2018년 고혈압 진료 지침 』, 2018. 경제 리뷰(https://www.econovill.com), 『 겨울철 건강, 혈압 관리가 좌우하고 고혈압에는 천연 칼슘이 효과적!”, 2016년 01월 19일 박·소연,”건강 신념 모델을 적용한 고혈압 영양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평가”가톨릭 대학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17년.

 

error: Content is protected !!